![[청년부자 시대] 채권부터 레버리지·일본 ETF까지… 유형별 라인업 구축 [청년부자 시대] 채권부터 레버리지·일본 ETF까지… 유형별 라인업 구축](https://images-cdn.newspic.kr/detail_image/488/2023/8/6/25f0d99f-d2dc-4123-a007-578ca91b1ebe.jpg)
![[청년부자 시대] 채권부터 레버리지·일본 ETF까지… 유형별 라인업 구축 [청년부자 시대] 채권부터 레버리지·일본 ETF까지… 유형별 라인업 구축](https://images-cdn.newspic.kr/detail_image/488/2023/8/6/25f0d99f-d2dc-4123-a007-578ca91b1ebe.jpg)
[청년부자 시대] 채권부터 레버리지·일본 ETF까지… 유형별 라인업 구축
국내 ETF(상장지수펀드) 시장이 가파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. 처음 ETF 시장이 생긴 2002년 당시에만 해도 순자산 총액은 3444억원에 그쳤다. 하지만 2012년 10조원을 넘어선 후 올해 상반기 ‘100조 시대’로 진입하면서 어느덧 ETF는 투자시장의 대세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. ETF는 코스피200, S&P500 등 특정 지수나 업종, 자산에 대해 분산 투자하는 펀드로 자산운용사가 운용한다. 하지만 증시에 상장해 주식과 마찬가지로 언제든 사고팔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한화자산운용의 ETF 새 시대를 이끄는 주역인 김성훈 ETF 사업본부장은 미래에셋증권, 에셋플러스자산운용, 푸르덴셜자산운용 등에서 20여년 간 활동해온 금융전문가다. 2021년 한화자산운용에서 신설한 ETF사업본부를 …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