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“알츠하이머 치매의 새로운 발병 기전 규명”
김준곤 고려대학교 교수. [사진=한국보건산업진흥원]
[이뉴스투데이 이승준 기자] 국내 연구진이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이 뇌 속에서 섬유화되는 분자 수준의 기전을 최초로 규명해 새로운 개념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.
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민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등 다학제 연구팀과 김준곤 고려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병인으로 밝혀진 타우 단백질의 섬유화 과정과 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를 최초로 입증했다고 4일 밝혔다.
이번 연구를 통해, 알츠하이머 병인인 타우 단백질 조각이 뇌 신경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과정과 시냅스 기능 억제 기전, 동물의 기억력 감퇴, 뇌조직 사멸에 끼치는 영향 등 그간 규명되지 않았던 타우 단백질의 섬유화 현상 …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